2월, 2022의 게시물 표시

평창 올림픽 그 후 4년, 올림픽 재해를 멈춰라

이미지
스포츠 분야의 전문가들은 올림픽 개최 방식의 근본적인 문제를 오래전부터 지적하며 이미 여러가지 대체 방안을 제시해왔다. 하지만 지역 사회에 대한 부담과 억압을 최소화하고 파괴를 줄이는 개혁안들은 IOC의 관심사가 아니다. 이러한 개최 방식은 최대의 이윤과 막강한 영향력의 지속을 보장하지 않기 때문이다. 2년마다 새로운 개최지에서 익숙한 올림픽 문제가 불거질 때, IOC와 그 협력자들은 말한다. 약간의 문제가 있는 것은 인정하지만 숭고한 “올림픽 정신” 실현을 위해 올림픽은 계속되어야 한다고 말이다. 올림픽은 세상을 나아지게 하는 마법 같은 게 아니다. 민주주의와 정 반대의 방식으로 움직이며 공적인 제도와 법의 테두리를 벗어나 특권을 누리는 무책임한 이권 산업일 뿐이다. 차별주의자 귀족 백인 남성이 만들어낸 이 산업은 100년이 넘는 세월 동안 인종차별주의자와 파시스트, 소수의 특권층에 의해 운영되는 전통을 유지하고 기만적인 권력자들이나 거대기업과 협력하며 점점 더 큰 규모의 착취와 파괴를 일삼는 방식으로 발전해왔다. IOC는 매년 6월 마다 쿠베르탱 남작을 기리며 올림픽 브랜드의 영원한 존속을 기원한다. 여느 개최지에서와 마찬가지로 평창 동계올림픽 유치 과정에서도 민주적 의사소통은 철저하게 배제되었다. 2000년에 김진선 전 강원도지사가 공식적으로 올림픽 유치 의사를 표명한 후, 지역 시민단체를 포함한 여러 시민사회 단위에서 우려의 목소리가 나왔다. 그러나 올림픽 유치 기반시설이라는 명목으로 추진되어 결국 강원도 지역 재정의 악몽이 되어버린 알펜시아 리조트 건설과 올림픽 유치는 계속 진행되었다. 그 과정에서 주민참여 공청회나 토론회는 단 한 번도 개최되지 않았다. 13조원 넘게 투입되는 올림픽 건설 사업에서 공적 자원을 관리하고 감시하는 행정적 절차는 새로 제정된 올림픽 특별법에 의하여 마비되었다.  올림픽 개최지를 통상 10여년 전에 결정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스포츠 행사는 올림픽 산업의 극히 일부이자 좋은 명분일 뿐이다. 올림픽 산업은 개최지 사업자...

삿포로 올림픽 유치 반대 행동에 대한 연대 성명 : 올림픽 없는 미래를 위하여

반복되는 올림픽 재해에 맞서는 동료들에게. 도쿄 하계올림픽 개최의 여파가 채 가시지 않은 지난 11월 말, 삿포로시는 2030년 동계올림픽 유치 추진을 공식적으로 표명하고 나섰다. 도쿄올림픽의 연기와 강행개최가 결정되는 동안 국제올림픽위원회(IOC)의 이권 사업 앞에 민주적 의사결정 구조가 무력화되고, 공적 자원의 탈취로 사회안전망이 붕괴되는 것을 몸소 겪은 주민들의 의향은 누구도 묻지 않았다. 삿포로시는 올해 3월에 시민을 대상으로 여론조사를 실시할 예정이라고 밝혔지만, 이를 통해 유치 추진의 여부를 결정하는 것이 아니라 그저 ‘참고’로 할 뿐이라고 말했다. 주민투표를 요구하는 목소리에 대해서는 ‘시간이 걸리므로’ 할 수 없다고 대답한다. 개최를 준비하는 수년 동안, 그리고 그 이후에도 계속해서 개최지 사회에 막대한 영향을 미치는 중대한 결정을 내리는 데에 주민들의 의사를 반영하려는 시늉도 하지 않는 것이다. 올림픽 재해로 이익을 얻은 사업자와 정치인들은 그들의 과오를 덮기 위해 더 큰 재해를 초청하는 방법을 택한다. 군부 정권이 ‘민주와 화합’을 내세워 1988년 올림픽을 개최하며 72만명이 올림픽 개발사업에 내몰려 철거민이 되었고, 전국적으로 인권 침해적 사회 정화 활동이 이루어진 한국에서 정확히 30년 후인 2018년에 ‘평화’를 내세운 환경파괴·난개발 올림픽이 개최되었고, 지방정부는 올림픽의 파생상품인 청소년 올림픽 등의 개최를 계속 추진하고 있다.  2008년 하계올림픽 개최를 추진하며 사상 최대 규모의 강제퇴거가 이루어진 베이징에서는 이번 동계올림픽을 준비하며 돌이킬 수 없는 생태적 파괴가 자행되었고, IOC는 여느 때처럼 권위적 정권의 억압을 올림픽 워싱(Olympic Washing)하고 있다.  유치 추진 측은 예산 절감, 지속가능성 실현, 기존 시설 활용 등 그간 올림픽이 개최된 지역에서 익숙히 보아왔던 거짓 약속을 내세운다. 우리는 그 약속들이 지켜지지 않는다는 사실을 잘 알고 있다. 그리고 무너진 약속과 남겨진 폐허 속에서...

올림픽을 폐지하라

이미지
평창 동계올림픽이 개최된 2018년은 서울에서 하계올림픽이 개최된지 만 30년이 되는 해였다. 여러 올림픽 개최지 중에서도 손에 꼽히는 대규모의 개발사업과 강제철거가 이루어진 서울에서 1986 아시안게임과 1988 올림픽을 준비하는 동안 72만명 이상이 삶의 터전을 잃었다. 경찰, 건설기업, 용역깡패가 협력하는 개발사업의 광풍 속에서 1986년 상계동에서만 6명의 철거민이 목숨을 잃었다. “올림픽 등에 대비, 관광객들에게 깨끗한 인상을 주고 국민들의 불쾌감을 없애기 위해” 중앙정부가 적극적으로 나서서 행한 “사회 정화” 활동으로 1만 6천여명이 적법한 절차도 없이 무작위로 잡혀가 전국 36개 시설에 강제 구금 되었다. 그 중 가장 규모가 큰 형제복지원에서 이루어진 무임금 강제노역, 학대, 폭행이 알려지고 수사와 재판이 진행되었지만 이 사건으로 처벌받은 이는 지금까지 한 사람도 없다. 올림픽의 억압은 올림픽이 막을 올리는 순간부터 빠른 속도로 지워져갔다. 주최 측은 올림픽으로 인해 “민주주의와 화합”이 실현되었다는 선전을 발빠르게 해 나갔다. 2018년에 여러 기관에서 서울올림픽을 긍정적으로 회고하는 각종 기념 사업을 시행했고, 실제했던 올림픽 재해는 ‘부수적인 부조리’로 가볍게 스쳐지나가듯 언급되었다. 여전히 많은 사람들은 ‘88 올림픽’이라는 단어를 통해 유쾌하고 즐거운 이미지를 더 쉽게 떠올린다. 올림픽으로 이익을 얻은 자들이 오랫동안 큰 목소리로 과오를 덮는 선전을 꾸준히 해 오는 동안, 올림픽 재해로 고통을 겪은 자들의 목소리는 지워졌다. 평창올림픽 역시 막이 오른 시점부터 지금까지 부지런히 올림픽 재해를 가리기 위한 기념사업에 지대한 노력을 기울여오고 있다. 올림픽이 개최되는 동안 우리가 평창, 정선, 강릉 등지에서 목격한 것들은 방송을 타고 전달되는 화려한 축제와 거리가 멀었지만, 올림픽 재해의 실체에 관심을 기울이는 이는 적었다. 지금 올림픽 유산을 계승한다며 추진되고 있는 많은 사업들 중 상당수는 평창올림픽에 대한 긍정적인 평가를 남기는 것 자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