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창 올림픽 그 후 4년, 올림픽 재해를 멈춰라
스포츠 분야의 전문가들은 올림픽 개최 방식의 근본적인 문제를 오래전부터 지적하며 이미 여러가지 대체 방안을 제시해왔다. 하지만 지역 사회에 대한 부담과 억압을 최소화하고 파괴를 줄이는 개혁안들은 IOC의 관심사가 아니다. 이러한 개최 방식은 최대의 이윤과 막강한 영향력의 지속을 보장하지 않기 때문이다. 2년마다 새로운 개최지에서 익숙한 올림픽 문제가 불거질 때, IOC와 그 협력자들은 말한다. 약간의 문제가 있는 것은 인정하지만 숭고한 “올림픽 정신” 실현을 위해 올림픽은 계속되어야 한다고 말이다. 올림픽은 세상을 나아지게 하는 마법 같은 게 아니다. 민주주의와 정 반대의 방식으로 움직이며 공적인 제도와 법의 테두리를 벗어나 특권을 누리는 무책임한 이권 산업일 뿐이다. 차별주의자 귀족 백인 남성이 만들어낸 이 산업은 100년이 넘는 세월 동안 인종차별주의자와 파시스트, 소수의 특권층에 의해 운영되는 전통을 유지하고 기만적인 권력자들이나 거대기업과 협력하며 점점 더 큰 규모의 착취와 파괴를 일삼는 방식으로 발전해왔다. IOC는 매년 6월 마다 쿠베르탱 남작을 기리며 올림픽 브랜드의 영원한 존속을 기원한다. 여느 개최지에서와 마찬가지로 평창 동계올림픽 유치 과정에서도 민주적 의사소통은 철저하게 배제되었다. 2000년에 김진선 전 강원도지사가 공식적으로 올림픽 유치 의사를 표명한 후, 지역 시민단체를 포함한 여러 시민사회 단위에서 우려의 목소리가 나왔다. 그러나 올림픽 유치 기반시설이라는 명목으로 추진되어 결국 강원도 지역 재정의 악몽이 되어버린 알펜시아 리조트 건설과 올림픽 유치는 계속 진행되었다. 그 과정에서 주민참여 공청회나 토론회는 단 한 번도 개최되지 않았다. 13조원 넘게 투입되는 올림픽 건설 사업에서 공적 자원을 관리하고 감시하는 행정적 절차는 새로 제정된 올림픽 특별법에 의하여 마비되었다. 올림픽 개최지를 통상 10여년 전에 결정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스포츠 행사는 올림픽 산업의 극히 일부이자 좋은 명분일 뿐이다. 올림픽 산업은 개최지 사업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