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쿄올림픽 개최 이후 1년, 계속되는 올림픽의 기만에 맞서는 동료들과 연대하며

 2018년 동계올림픽에 대해 어떤 기억을 가지고 있나요? 아마도 많은 분들이 드라마틱한 경기 장면, 스타 선수, 승리와 시상의 순간, 그리고 평화와 화합이라는 단어를 기억하고 계실 것 같습니다. 하지만 개최지에서 삶을 이어가고 있는 우리가 기억하는, 또 지금도 겪고 있는 현실은 티비에 중계된 모습과는 많이 다릅니다.  

평창올림픽이 개최되던 2018년 2월, 올림픽 주경기장이 위치한 올림픽 플라자 바로 옆의 교차로 한 가운데에서 건설노동자들이 단식농성에 돌입했습니다. 각종 올림픽 홍보 행사, 올림픽 관련 시설 공사 등에서 일한 건설노동자들 중 천여명이 약 800억 원에 달하는 임금을 못받았습니다. 경찰이 작은 천막 하나 치지 못하게 해서, 노동자들은 침낭과 매트에 의지해 추위를 견뎠습니다. 한 건설노동자는 “우리도 올림픽의 성공 개최를 원했었다. IOC 위원들이 방문한다고 해서 새벽부터 길거리를 청소하고 국기를 흔들기도 했다. 하지만 주민과 노동자들의 고통에 누구도 책임지지 않고 “올림픽에 지장을 주지 말라”고만 한다.”라고 말했습니다. 건설노동자들은 올림픽이 폐막하는 날까지 단식농성을 이어갔지만, 어떤 언론도 이들의 목소리를 전하지 않았습니다. 

여타의 올림픽과 마찬가지로, 평창올림픽 주최 측 역시 ‘지역경제 활성화’와 ‘관광산업 부흥’을 선전했습니다. 하지만 지역 주민들이 운영하는 관광 사업체들은 오히려 큰 피해를 입었습니다. 주요 설상 경기가 개최된 리조트는 올림픽 개막 직전에 경기장 외에 모든 슬로프의 영업을 중단한다는 사실을 주민들에게 일방적으로 통보했습니다. 2018년이 “개업 이후 가장 힘든 시기 였다”고 말한 주민들은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올림픽조직위원회, 지방정부, 중앙정부까지 올림픽과 관계된 조직을 전부 찾아가 대화를 요청했지만 모두가 이들을 외면했습니다.

알파인 스키 경기가 개최된 가리왕산에는 500년 동안 보존되어온 국가보호산림이 있었지만, 단 3일 동안의 스키 경기를 위해 10만 그루의 나무가 베어졌습니다. 산기슭에 살던 50여 가구의 주민들 역시 보금자리를 잃었습니다. 이들이 마을에서 강제이주된 뒤, 그 자리에는 ‘휴식’과 ‘치유’를 내세운 고급 호텔이 들어섰습니다. 

평창패럴림픽이 개최되는 동안, 장애인권 활동가들은 “평등없이 평화없다”라고 외치며 패럴림픽 개회식장, 경기장을 찾아 차별없는 사회를 위한 변화를 촉구했습니다. 패럴림픽이 개최되는 장소에서도 점자 블록, 수어 통역과 자막, 경사로, 저상버스가 아예 없거나 부족했습니다. 평창이 위치한 강원도의 12개 지자체에는 아직까지도 휠체어 이용자가 탑승할 수 있는 저상버스가 단 한 대도 없습니다. 강원도는 올림픽을 준비하며 복지예산을 먼저 삭감했습니다. 패럴림픽 개최에 쏟아부은 돈은 지역 대중교통, 공공시설에서의 이동권과 접근권 보장을 위해 사용되어야 했습니다.

패럴림픽이 끝난 이후, 올림픽조직위원회는 빠르게 해산되었습니다. 남겨진 시설들에 의해 재정 적자가 누적되고, 올림픽의 문제를 아무도 책임지지 않는 동안에도 ‘올림픽 유산’을 계승한다는 기념사업들은 착실히 진행되었습니다. 적게는 수십억원에서 많게는 수백억원이 소요되는 기념사업은 지금도 계속되고 있습니다. 뿐만 아니라  투기 자본과 건설사에게 강제 토지 수용의 권리와 각종 특혜를 부여하는 ‘올림픽 특구 사업’ 역시 계속되며 강원도 곳곳에 리조트와 호텔이 지어지고 있습니다. 

평창동계올림픽이 개최된 2018년은 1988년 서울하계올림픽이 개최된지 30년이 되는 해였습니다. 평창올림픽 개최 전부터 서울올림픽을 미화하는 대규모 기념사업들이 벌어졌습니다. 1986년 아시안게임과 1988년 올림픽을 앞두고, 서울 전역에서 72만명이 보금자리를 잃었습니다. 이들이 겪은 강제퇴거는 심각한 폭력 속에서 진행되었습니다. 강제철거 과정에서 목숨을 잃은 사람은 1986년 한 해 동안만 해도 6명에 달했습니다. 민주화를 위해 노력하던 당시의 많은 사람들은 철거민들과 연대하며 올림픽 반대 활동을 펼쳤습니다. 1970년대 중반에서 1980년대 말까지 전국적인 규모로 ‘사회정화작업’이 진행되며 최소 1만 6천여명이 여러 시설에 강제구금되었습니다. 그 시설 중 하나였던 ‘형제복지원’에서 살아남은 사람들은 지금까지도 피해보상과 명예회복, 책임자 처벌을 위해 싸우고 있습니다. 하지만 ‘88 서울올림픽 기념사업’은 당시의 올림픽에 찬사를 보내고, 2018년 평창올림픽 개최에 정당성을 부여하기에만 급급했습니다. 만연했던 폭력과 억압은 ‘부수적인 피해’ 정도로 짧게 언급되었으며, 수많은 사람의 희생과 노력을 통해 이루어낸 민주화의 성취는 올림픽의 성과로 왜곡 선전되었습니다. 도쿄올림픽 개최 이후 1년 동안의 상황을 보며 우리는 강한 기시감을 느꼈습니다. 도쿄올림픽의 환상을 조작해내며 추진되고 있는 2030년 삿포로 올림픽 유치는 우리가 겪은 일들을 상기시켰습니다. 올림픽을 추진하려는 측은 이 낡고 노골적인 선전 행위가 여전히 유효하다고 여기는 듯 합니다.

우리는 7월 18일에 삿포로에서 진행된 ‘올림픽을 멈춰라, 4도시 회의’에 참가했습니다. 삿포로시는 2030년 올림픽 개최를 위해 1972년 동계올림픽 때 조성했던 시설을 활용하여 비용을 절감하고 지속가능한 올림픽을 개최할 수 있다고 말합니다. 하지만 유치 계획을 자세히 들여다보면 거의 새로운 경기장을 짓는 수준의 막대한 개축비가 든다는 사실을 알 수 있습니다. 또 삿포로시는 주민투표를 요구하는 목소리에 대해서, 여론조사로 의향을 확인할 수 있으니 주민투표는 필요없다고 말합니다. 하지만 주민투표를 대신할 수 있다고 주장하는 해당 여론조사는 사실상 시민의 의향을 날조하는 과정에 가깝다고 볼 수 있을 만큼 기만적인 내용으로 가득했습니다. 2030년 삿포로 올림픽 유치 과정은 그 자체로 불투명하고 반민주적인 올림픽 산업의 본질을 잘 보여줍니다. 

우리 동네에 새로운 올림픽이 올 때 어떤 일이 벌어질지를 예상하는 것은 그다지 어렵지 않습니다. 개최지에서 어떤 일들이 벌어졌고 벌어지고 있는지, 우리는 이미 경험하여 알고 있기 때문입니다. 올림픽이 어떻게 민주주의를 후퇴시키고, 공적영역을 침식하며, 우리 사회 가장 취약한 자리에 있는 사람들을 내모는지를 우리는 모두 기억하고 있습니다. 포기하지 말고 우리가 함께 지켜나가야 하는 것을 이야기합시다. 각자의 자리에서 다양한 방식을 통해 우리의 이야기를 더욱 넓혀 나갑시다. 어느 곳에서도 올림픽 산업에 우리의 미래를 내어주는 일이 없는 날까지 함께 연대합시다.

2022년 7월 24일 

평창올림픽반대연대

-----------------------------------------------------------------------------------------------------


東京五輪開催から1年 うち続く五輪の欺瞞に立ち向かう仲間と連帯しながら

2018年冬季五輪に対して、どんな記憶をお持ちですか?たぶん、多くの人がドラマチックな競技の場面、スター選手、勝利とメダル授与の瞬間、そして平和と和合という単語を記憶されていることでしょう。しかし、開催地で生活をしている私たちが記憶している、また、今も味わわされている現実は、テレビで中継される姿とは大きく違います。

平昌五輪が開かれた2018年2月、主競技場の位置するオリンピックプラザのすぐ横の交差路の真ん中で、建設労働者たちが断食闘争に突入しました。五輪のキャンペーン行事や関連施設建設などに従事した建設労働者たちのうち、千人以上が約800億₩にのぼる賃金を受け取っていないのです。警察が小さなテントすら張らせなかったので、労働者たちは寝袋とマットに頼って寒さに耐えました。ある建設労働者は「私たちも五輪の成功を祈っていた。IOC委員たちが訪問するというので、朝早くから道を掃除し国旗を振ったりもした。しかし、住民と労働者たちの苦痛に対して誰も責任を取ろうとせず「五輪に支障を与えるな」としか言わない、と語っていました。建設労働者たちは五輪が閉幕する日まで断食闘争を続けましたが、マスコミはどこも彼らの声を伝えることはありませんでした。

他のオリンピックと同じように、平昌五輪の開催側もまた「地域経済の活性化」と「観光産業の復活」をPRしました。しかし、地域住民たちが運営する観光産業は、むしろ大きな被害を被りました。主だった雪上競技が開催されたリゾート地は、五輪開幕直前に、競技場の外の全てのスキーコースの営業を中断する、という事実を住民たちに一方的に通告しました。2018年が「開業以来最も困難な時期だった」と語る住民たちは、この問題を解決するために五輪組織員会、地方自治体、そして中央政府に至るまで、五輪と関係するあらゆる組織を訪れ、対話を求めましたが、どこも彼らを相手にしませんでした。

アルペンスキー競技が開かれたカリワン山には、500年もの間保存されてきた国家保護山林がありましたが、たった3日間のスキー競技のために、10万本の樹木が伐採されました。山のふもとに住んでいた50余世帯の住民たちも、生活の場を失いました。彼らが村から強制移住させられたあとには、「休息」と「癒し」をセールスポイントにした高級ホテルが立ち並びました。

平昌パラリンピック開催期間の間、障害人権活動家たちは、「平等なくして平和はない」と叫び、パラリンピック開会式場・競技場を訪ねて差別のない社会のための変化を求めました。パラリンピックが開催される場所には、点字ブロック・手話通訳と字幕・スロープ・低床バスが全くないか不足していました。平昌が位置する江原道の12の自治体には今に至るまで車いすユーザーが利用できる低床バスが1台もありません。江原道は五輪準備のために真っ先に福祉予算を削減しました。パラリンピック開催につぎ込まれた予算は、地域の大衆交通、そして公共施設への移動権と接近権の保障のために使われなければならなかったのです。

パラリンピック閉幕後、五輪組織員会はいち早く解散しました。残された施設のために財政赤字がふくれ上がり、五輪の問題に対して誰も責任を取ろうとしない、その間にも「五輪レガシー」を継承するという記念事業は着実に進められました。控えめにみて数十億₩、多く見積もって数百億₩を要する記念事業は、今も続いています。そればかりか、投機資本と建設会社に強制土地収用の権利と各種の特恵を付与する「五輪特区事業」もまた、続いています。この事業により、江原道のあちこちで、リゾートとホテルが建設されています。

平昌冬季五輪が開催された2018年は、1988年ソウル五輪の30年後に当たる年でした。平昌五輪開催前から、ソウル五輪を美化する大規模な記念事業が行われました。1986年のアジア大会と88年の五輪を前にして、ソウル全域で72万名が生活の場を失いました。彼らが味わわされた強制退去は、ひどい暴力の中で行われました。強制撤去の過程で命を落とした人は、1986年だけでも6名にのぼります。民主化のために努力してきた当時の多くの人々は、撤去民たちと連帯し、五輪反対活動を繰り広げました。1970年代中盤から80年代末まで、全国的規模で「社会浄化作業」が進められ、少なくとも16000名余りがあちこちの施設に強制拘禁されました。これらの事実のうちのひとつがプサンの「兄弟福祉園」です。兄弟福祉園で生き残った人々は、今もなお被害に対する補償と名誉回復、責任者の処罰を求めてたたかっています。しかし、「88年ソウル五輪記念事業」は、当時の五輪に賛辞を送り、2018年の平昌五輪開催に正当性を付与することに汲々としていました。蔓延していた暴力と抑圧は「付随的な被害」程度で手短に言及され、多くの人々の犠牲と努力の末にたどり着いた民主化の成果は、五輪の成果と歪曲されて宣伝されました。東京五輪開催から1年間の状況を見て、私たちは強い既視感を覚えました。東京五輪の幻想を捏造しながら推進されている2030札幌五輪招致は、私たちが経験したことを思い起こさせます。五輪を推進しようという側は、この古臭く露骨な宣伝行為が依然として有効だと考えているように思えます。

私たちは7月18日に札幌で行われた「オリンピックを止めよう!4都市会議」に参加しました。札幌市は2030年五輪開催のために、72年の冬季五輪当時に造られた施設を活用、費用を削減し、持続可能な五輪を開催することができると言っています。しかし、招致計画を詳細に見ると、ほとんどが新しい競技場を作るのと同じぐらい莫大な改築費用がかかるという事実を知ることができます。また、札幌市は住民投票を求める声に対して、世論調査によって意向を確認することができるので、住民投票は必要ないと言います。しかし、住民投票の代わりにすることができると主張する件の世論調査は、事実上市民の意向を捏造する過程に近いと見ることができるぐらい、欺瞞的な内容に満ちていました。2030年札幌五輪招致のプロセスは、それ自体が不透明で反民主的な五輪産業の本質をよく表しています。

私たちの街に新しく五輪が来る時、どんなことが起こるのかを予想するのは、さほど難しくはありません。開催地でどんなことが起こったか、また、どんなことが起こっているのか、私たちはすでに経験し知っているからです。五輪がどのように民主主義を後退させ、公的空間を侵食し、私たちの社会の中で最も弱い立場におかれた人々を追いやっていくのか、私たちは全て記憶しています。あきらめることなく、私たちがともに守っていかなければならないことを語り合いましょう。それぞれの場で、多様な方法を通じて、私たちの話をより広げていきましょう。どこであっても、五輪産業が、私たちの未来に触手を伸ばすことのなくなるその日まで、共に連帯しましょう。

2022年7月24日

平昌オリンピック反対連帯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파리와 연대하는 공동성명

'2024 파리 올림픽·패럴림픽 약탈의 지도' 배포 안내

서울에서 파리까지, 어디에도 올림픽은 필요없다 de Séoul à Paris, NO JOP ni ici ni ailleu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