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창올림픽 개최지 2021년 하계 답사 보고서
2018 평창 동계 올림픽·패럴림픽이 끝난지 만 3년이 넘게 지나고, 다음 베이징 동계올림픽 개최가 멀지 않은 지금도 개최지에서는 올림픽 재해가 계속 진행 중이다. 올림픽 개최 과정에서 사라진 공적 자원, 파괴된 숲, 지역민과 노동자들이 입은 피해에 대해서는 누구도 책임지지 않는 사이에 ‘올림픽 유산’이라는 이름의 이권 사업만은 모두의 관심사가 되었다. 각각 수천억원을 들여 지었고 해마다 수십억원씩 유지관리비를 잡아먹고 있는 올림픽 시설물의 근본적인 문제에 대해서는 언급하지 않고, 시설 활용을 명목으로 터무니 없는 새로운 사업들이 거듭 추진되고 있다. 올림픽을 명분으로 내세워 특별법에 의거해 여러 특혜 속에 추진되었으나 실상 올림픽 개최와 그다지 상관도 없었던 각종 토건 사업들에 대한 의혹은 어느 것 하나 제대로 밝혀진 것이 없다. 공적 책무 방기와 올림픽 유산 오직 올림픽 유치만을 목적으로 1조 6800억원의 공적 자금을 들여 조성한 알펜시아 리조트는 지금도 공기업인 강원도개발공사의 자금으로 운영된다. 건설비는 물론이고 유지비도 감당할 수 없었던 강원도개발공사는 알펜시아 완공 이후 12년 동안 눈덩이처럼 불어나는 부채에 시달리며 심각한 재정적자를 겪어왔다. 올림픽 특별법에 의거해 개최 예산의 75% 이상을 중앙정부가 부담했지만 막대한 올림픽 비용은 강원도의 재정 상황을 악화시켰다. 올림픽 유치 이전에도 전국 지자체 평균 재정자립도인 50%에 미치지 못하는 27% 수준이던 강원도의 재정자립도는 올림픽 유치 이후 점차 낮아져 올해에는 14.3%로 역대 최저치를 기록했다. 골칫덩이 알펜시아를 처분하기 위해 여러 차례 민간 매각 추진과 유찰을 반복해오다가 올해 6월에 진행된 다섯 번째 입찰에서 최종 인수 업체가 결정되었으나 낙찰 금액은 건설비의 절반에도 미치지 못했다. 인수 업체의 재정 여건이 불투명하여 이 금액마저 제대로 지불할 수 있을지 알 수 없다. 지방 의회는 매각 과정의 부정 입찰 여부에 대해 문제를 제기하고 있다. 만약 모든 문제가 해결되고 내년 2월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