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림픽 폐허 가이드 : 평창올림픽 개최 후 5년
2018 평창 동계올림픽·패럴림픽이 막을 내린지 5년이 넘게 지났다. 감동적인 경기 장면에 열광하던 미디어들이 새로운 메가스포츠이벤트를 쫓아 가느라 바쁜 동안, 올림픽 주최 측과 협력자들이 또 다른 이권 사업을 찾아 떠난 자리에서는 지금껏 어떤 일들이 벌어져왔을까. 평창올림픽반대연대는 개최 이전부터 지금까지 꾸준히 개최지 답사를 지속해오고 있다. 우리에게 남겨진 올림픽 폐허의 모습을 있는 그대로 전하기 위해, 지난 5년 동안의 답사 내용을 종합하여 정리한다. 공공영역 박살내기 2017년, 서울 시청 광장 올림픽은 두달여 간의 짧은 이벤트가 아니다. 유치 추진 단계에서부터 개최까지 10여년, 개최 이후 수십년간 오랜 시간에 걸쳐 개최지 사회에 막대한 영향을 끼치는 대규모 사업이다. 개최지 사회의 구성원 입장에서 볼 때에 올림픽의 가장 큰 문제는 장기적인 예외 상황을 만들어낸다는 것이다. 이는 올림픽의 주인인 국제올림픽위원회(이하, IOC)가 이 산업을 지속하며 이윤을 만들어내는 가장 큰 원동력이기도 하다. 또한 이 강력한 힘에 이끌려 무책임한 기업과 투자자, 정치인과 지역 유력 인사들이 끈끈하게 협력한다. 평창올림픽 개최가 확정된 직후 국회에서는 ‘2018 평창 동계올림픽대회 및 동계패럴림픽대회 지원 등에 관한 특별법(이하, 특별법)’이 제정되었다. 평창을 포함한 대부분의 올림픽 개최지에서는 사회 구성원들의 권리를 보호하기 위한 제도와 절차를 무력화하고, 사업 관계자들에게 예외적 특권을 부여하는 법률과 제도가 시행되곤 한다. 올림픽 특별법은 지금까지도 올림픽 개발 사업의 근거가 되어 강한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다. 2017년, 국도 6호선 공사 현장 올림픽 유치 논의가 본격화되던 2000년대 중반부터 강원도에는 투기 자본이 몰렸고, 재벌과 고위 공직자를 포함한 많은 외지인들이 땅을 사들였다. 수조원 단위의 예산 중 70% 이상이 올림픽과 관련성이 낮은 대규모 토목 건설 사업에 들어갔다. 그 중 많은 사업이 예비타당성조사, 환경영향평가 등을 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