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8년 러시아 월드컵 폐막을 맞이하며
2018 년 러시아 월드컵은 오늘 자정의 결승전으로 막을 내릴 예정이다 . 한 달 동안의 즐거운 축구 축제는 이제 끝나지만 러시아 사람들이 앞으로 겪어나갈 월드컵 문제는 쉽게 사라지지 않을 것이다 . 스위스 취리히에 본사를 둔 국제축구연맹 (FIFA) 의 월드컵과 스위스 로잔에 본사를 둔 국제올림픽위원회 (IOC) 의 올림픽은 닮은 점이 많다 . 메가스포츠이벤트 앞에서 개최지 사회의 사람들이 오랜 노력과 투쟁으로 만들어놓은 민주적 절차와 사회안전망은 무력화된다 . 불투명하게 운영되는 소수이익집단의 수익사업 앞에 사회적 합의와 최소한의 절차들은 예외적인 해제 상태가 된다 . 올림픽 사업이 개최도시를 중심으로 벌어지는 반면 , 월드컵 사업은 국가단위로 전국에 걸쳐 10 여개의 지역을 동시에 개발하며 이러한 문제를 더욱 심화시킨다 . 2002 년 한일 월드컵과 1988 년 서울 올림픽 , 2018 년 평창 올림픽을 모두 겪은 한국의 사람들에게 이는 외면할 수 없는 문제다 . 월드컵을 앞두고 택지개발지구로 지정된 상암동 일대에서는 2 년여에 걸친 짧은 시간동안 집중적으로 강행된 강제철거로 많은 사람들이 거주지에서 쫓겨났다 . 특히 2000 년에 500 여명의 철거용역깡패와 1000 여명의 공권력이 동원된 동절기 강제철거는 더욱 가혹했다 . 그렇게 건설된 상암경기장은 난지 매립지를 활용한 친환경 경기장 건설 사례로 홍보되었고 , 쫓겨난 상암동 주민들은 쉽게 잊혀졌다 . 2014 년 월드컵과 2016 년 올림픽을 연이어 개최한 브라질은 심각한 경찰폭력과 대대적인 파벨라 강제철거로 많은 빈민들이 삶에서 내몰렸고 , 그 여파는 현재의 브라질 사회에도 계속 영향을 미치고 있다 . 평창올림픽반대연대는 오늘 오후에 인포숍 카페 별꼴에서 개최한 상영회를 통해 메가스포츠이벤트 개최로 심화되는 빈민 , 인종 , 여성 문제에 대한 당사자들의 목소리를 들었고 , 월드컵 개발사업으로 쫓겨나는 파벨라 주민들의 이야기를 보았다 . 2018 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