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월, 2018의 게시물 표시

평창 패럴림픽을 끝내며

이미지
"삶의 소중함을 일깨우"고, "장애를 뛰어넘고", "장애를 딛고", "장애라는 벽을 넘은" 패럴림픽이 "인간 승리 드라마"와 "겨울동화"로 "국민에게 감동을 안기"며 막을 내렸다. 장애는 다른 이들에게 자극과 영감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 아니며, 비극과 불행의 극복을 보여주기 위한 것도 아니다. 장애는 평범한 우리 삶과 사회의 일부이다. 장애 스포츠 선수들을 향한 특별한 찬사는 그 자체로 무례에 지나지 않는다. 장애인이 일상과 노동 속에서 불편을 느낀다면 이는 그 개인이 극복해야 할 일도, 딛고 일어서야 할 일도 아니다. 이는 장애가 있다는 것을 '불편한 것'으로 만든 사회의 책임이다. 패럴림픽 폐막 이후에 장애인권 보장에 어떤 진전과 성취가 생긴다면, 그것은 오롯이 지금까지 노력해온 당사자들의 소중한 결실이며, 패럴림픽의 성과가 아니다. 패럴림픽은 장애인의 권리를 보장하지 않았다. 시각장애인을 위한 점자 블록도, 청각장애인을 위한 수어 통역과 자막 제공도, 휠체어 사용자를 위한 경사로도, 저상버스도, 모두 부족하거나 아예 없었다. 우리는 궁금하다. 평소에 평창, 정선, 대관령, 강릉에서 생활하는 장애인의 일상은 어떠할까. 우리는 생각해본다. 패럴림픽 개최에 들어간 예산이 지역 대중교통과 공공시설에 대한 이동성과 접근성을 개선하기 위해 투입되었다면 그 결과는 어떠했을까. 엄청난 예산을 소요한 중앙정부와 지방정부는 내년 예산안에 장애인 복지 예산을 어떻게 얼마나 할당할까. 강원도는 이미 2015년에 올림픽 개최를 준비하는 과정에서 복지예산을 우선 삭감했다. 2014년 아시안게임을 개최한 인천시는 이듬해 점자도서관 예산을 삭감했다. 우리는 소수의 이익을 위한 올림픽과 패럴림픽에 계속해서 맞서나갈 것이다. 또한 티비에 중계되지 않는 장애인의 삶에 함께 연대해나갈 것이다.

마리엘 프랑코의 죽음을 애도하며

이미지
브라질 리우데자네이루의 파벨라(빈민가)인 마레 지구에서 나고 자란 마리엘 프랑코는 리오 파벨라에 대한 재개발, 강제퇴거, 군사점령, 경찰폭력에 맞서 싸워온 인권활동가로, 2016년에는 시의원으로 선출되었고 의회에서 빈민의 목소리를 대변했다. 그녀는 브라질 기준 시간으로 수요일 저녁 9시 30분에 주차되어 있던 차 안에서 신원미상의 남성 2명에 의해 피살되었다. 운전기사인 앤더슨 페드로 고메스는 중상을 입었고, 함께 타고 있던 그녀의 고문도 부상을 입었다. 그녀는 살해당하기 나흘 전에 파벨라 아카리에서 벌어진 끔찍한 경찰 폭력에 대해 폭로했고, 하루 전에는 "얼마나 더 많은 사람이 죽어야지 이 전쟁이 끝날까"라는 글을 트위터에 올렸다. 리오데자네이루는 경찰폭력이 심각한 곳이다. 경찰에 의한 사망자 수가 전체 사망자 수의 30%에 이를 정도로 만성적인 경찰폭력에 고통받고 있다. 부패한 정치인과 민병대들도 이러한 경찰폭력의 원인을 제공한다. 그리고 이 문제는 월드컵과 올림픽을 거치며 더욱 악화되었다. 2014년 월드컵과 2016년 올림픽을 차례로 개최하며 리오 전역에, 특히 파벨라 지역을 중심으로 군사점령이 강행되었다. 마레 지구는 2014년에서 2015년에 걸쳐 1년이 넘게 3천명 이상의 군인이 주둔했었다. 올림픽과 월드컵이 '일시적'으로 허용하는 '예외적'인 군사화는 메가스포츠이벤트가 끝난 후에도 사라지지 않는다. 마약거래와 갱을 통제한다는 명목을 내세워 보다 쉽게 주민들의 삶을 침략하고 폭력을 일삼는 강제점령은 '강화된 치안'이라는 이름으로 계속되고 있다. 마리엘 프랑코는 이에 대해 지속적으로 문제제기를 해 왔고, 리오의 사람들은 그녀의 죽음이 이와 무관하지 않다고 주장하고 있다. 리오에서는 지금 수천명의 사람들이 모여 그녀의 죽음을 추모하고, 진상규명을 요구하는 시위를 벌이고 있다. 우리는 그녀의 죽음을 애도한다. 우리는 삶에 대한 권리, 쫓겨나지 않을 권리, 감시당하...

2018 평창 동계패럴림픽 개막식 리포트

이미지
이번주 금요일에 패럴림픽이 개막했습니다. 스폰서 휘장이 빼곡히 걸린 길을 지나 올림픽 스타디움이 있는 횡계리로 향했습니다. 개막식이 시작하기 전에 충분히 여유를 가지고 도착하여 주변을 둘러보았습니다. 몇 미터 간격으로 서있는 경찰이 가장 먼저 눈에 띄었습니다. 올림픽 개막식 때에 비하여 패럴림픽 개막식을 앞둔 읍내는 한산했습니다. 올림픽 개최기간 동안 자주 보였던 태극기 부대도, 호모포비아들도 패럴림픽에는 관심이 없는지, 모습을 찾을 수 없었습니다. 올림픽이든 무엇이든 현정권을 비난하거나 혐오를 표출하기 위해선 뭐든 상관없는 사람들에게, 흥행하지 않을듯한 패럴림픽은 관심 밖의 영역이었을 것입니다. 패럴림픽에도 관심을 가져야 한다고 언론은 말하지만, 실제로 국내 방송에서 패럴림픽 시합이 중계되는 시간은 총 18~30시간에 불과합니다. 올림픽 중계 방송이 총 150시간 이상, 하루 평균 9시간이었던 것과 비교됩니다. 주요 외국방송사들은 60~90시간 이상을 패럴림픽 중계에 할애합니다. 비장애인과 장애인의 평등과 이상을 실현한다는 올림픽의 선전과 실제는 많은 차이가 있습니다. 개막식장 입장은 4시에 시작되지만 그 전부터 줄 서있는 사람들 속에 휠체어를 타고 있는 분이 눈에 띄었습니다. 패럴림픽이나 올림픽이 아니더라도 모든 시설은 장애인들도 불편없이 이용할 수 있어야 합니다. 그러나 올림픽 스타디움 일대엔 시각장애인을 위한 점자유도블록이 없었고, 개막식 입구 두 군데 중 한 군데는 경사로도 없었습니다. 추위를 견디며 입장을 기다린 분들 중, 경사로가 없는 입구 쪽에서 휠체어를 타고 기다렸던 그 분은 보도블럭 턱을 넘지 못하고 휠체어 채로 들려서 입장해야 했습니다. 아주 멀리서부터 펜스로 접근이 차단되어 있는 개막식장으로 가까이 가보기 위해 도로를 따라 걸었습니다. 두텁게 쌓인 눈과 한기 서린 안개 사이로 아무도 지나가지 않을 것 같지만, 경찰은 사방을 둘러싸고 서 있었습니다. 길을 조금 걷다보니 보도블럭이 이상했습니다. 지반을 충분히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