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월, 2021의 게시물 표시

올림픽 재해의 악순환을 멈추자 5. 치워지는 집, 지워지는 삶

이미지
2018년 겨울, 도쿄 시부야의 미타케 공원에서는 김동원 감독의 다큐멘터리 ‘상계동 올림픽’ 상영회가 열렸다. ‘상계동 올림픽’은 상계동 주민들이 집과 삶을 지키기 위해 싸운 3년의 시간을 담고 있다. 1986년 아시안게임과 1988년 하계올림픽을 앞두고 서울 전역에서 ‘도시 미관 개선’ 사업과 ‘불량 주택 철거’ 사업이 진행되며 72만명의 올림픽 난민이 발생했다. 상계동에서 쫓겨난 이들은 명동성당 앞 천막에서 열 달 가까이 지내다가 부천시 고강동 경인고속도로 옆 부지에 가건물을 지어 정착하려 했다. 하지만 그 옆에서 올림픽 성화봉송이 지나간다는 이유로 집은 모두 부수어졌다.  상영회가 진행된 미타케 공원 바로 옆에는 미야시타 공원이 있었고, 공원에는 100여채의 노숙인 주거지가 있었다. 2017년 3월에 아무런 사전공고도 없이 미야시타 공원은 폐쇄되었고 이들은 보금자리를 잃었다. 그 중 일부는 훨씬 작은 미타케 공원으로 거처를 옮겼다. 하지만 2019년에 미타케 공원도 폐쇄되었다. 도쿄올림픽은 환대를 의미하는 ‘오모테나시(おもてなし)’라는 슬로건을 내걸었다. 올림픽 유치가 확정되고 시부야구 전역에는 대규모 재개발 사업이 추진되었다. 사업의 목적은 “다양성과 환대”가 있는 거리 만들기였다. 공원들이 있던 자리에는 일본 최대의 부동산 기업인 미츠이(三井) 부동산 주도로 호텔과 쇼핑몰 등이 있는 복합상업시설이 들어섰다. 시설의 이름은 “MIYASHITA PARK”다. 쇼핑몰 옥상의 정원은 야간이면 문을 닫았고, 주간에도 사설경비원이 출입을 통제하곤 했다. 개발회사는 모두의 공원을 새롭게 만들었다고 홍보했다. 도쿄올림픽 개막식이 진행된 신국립경기장 자리에는 메이지 공원이 있었다. 공원은 올림픽 유치가 확정된 2013년에 갑자기 폐쇄되었고 여기 머물던 노숙인들은 모두 강제퇴거 되었다. 경기장 옆에는 1964년 올림픽 당시 강제이주된 사람들이 정착한 가스미가오카 공공주택단지 10개동이 있었다. 거주자의 상당수는 고령층으로 오랜 시간 가스미가오카에서 살아오며 서로 긴밀한

올림픽 재해의 악순환을 멈추자 4. 이윤 우선주의

이미지
도쿄올림픽 개최 기간 동안 연일 30도가 넘는 기온에 높은 습도까지 더해져 그야말로 푹푹 찌는 더위가 이어지고 있다. 많은 선수들이 폭염 속에서 고통을 호소하고 있고, 야외에서 진행되는 종목에 참가하는 선수들은 더 큰 어려움을 겪고 있다. 1964년 도쿄올림픽은 10월 10일에 개막했고, 1988년 서울올림픽은 9월 17일에 개막했다. 하계올림픽 개최 일정이 점차 더운 계절로 조정된 것은 미국내 독점중계권을 가지고 있는 NBC의 사정과 무관하지 않다. 통상 7월에서 8월 사이에는 올림픽 외에 대규모 국제 스포츠 행사가 열리지 않는다. 올림픽 방송은 NBC 사업의 중추를 구성하고 있다. 올림픽 방송 황금시간대의 광고 수익은 올림픽 기간이 아닐 때 같은 시간에 비하여 7배 이상이다. 2018년 평창올림픽은 미국 스포츠 최대 흥행 상품인 슈퍼볼이 끝난 직후에 개최되었다. NBC는 평창올림픽 중계로 9천억원을, 연이은 두 스포츠 행사 중계로 총 1조 4천억원을 벌었다. 국제올림픽위원회(IOC) 수익의 3분의 2는 중계권료에서 온다.  세계적인 감염병 확산 상황 속에서 개최하는 올림픽에 대해 비판이 이어지자 IOC는 ‘선수 우선주의(Athletes First)’를 이야기하며 선수들을 위해 안전·안심 올림픽에 만전을 기하겠다고 장담했다. 그러나 참가 선수들은 이를 실감할 수 없었다. 남은 것은 ‘선수 우선주의’가 아닌 ‘올림픽 우선주의(Olympics First)’다. 선수들의 입장을 전면에 내세워 위기 상황에도 불구하고 개최를 강행했지만, 그들의 성취는 물론이고 기본적인 건강과 안전까지도 뒷전으로 밀려났다. 올림픽 사업의 이익을 우선하느라 뒤로 밀려난 것은 선수들만이 아니다.  평창올림픽 개최 기간에 국립 강릉원주대학교 학생들은 겨울방학 동안 오갈 데가 없었다. 대학교가 학생들과 아무런 의사소통 없이 기숙사를 올림픽 자원봉사자에게 제공하기로 결정하고, 일방적으로 통보했기 때문이다. 사전에 학생들에게 고지하려는 노력도 하지 않았고, 방학을 한 달 앞둔 시점에서 공지사항으

올림픽 재해의 악순환을 멈추자 3. 면죄의 전당

이미지
고속철도 진부역은 평창올림픽 개최 당시 주요 교통거점이었다. 올림픽 개최 기간 내내 진부역에서는 '지구 살리기' 전시회와 '나무심기' 기금 마련 캠페인이 열렸다. 후원을 하면 '올림픽 공식 나무심기 캠페인' 이름으로 사막지역에 나무를 심고, 기금을 활용해 가리왕산과 백두대간을 복원할 거라고 홍보했다. 올림픽 개발사업을 위해 가리왕산 보호구역을 해제한 산림청이 협력한 캠페인이었다. 모니터에서는 사막의 생태가 회복되는 모습을 담은 미디어아트가 끊임없이 재생되고 있었다. 평창올림픽이 '환경올림픽'을 표방하며 모범적 사례로 든 것은 2012 런던올림픽이었다. '지속가능성'을 화두로 내세운 런던올림픽조직위는 '지속가능 납품원칙'을 통해 엄격한 윤리적, 환경적 기준에 부합하는 기업만이 후원이나 공급을 제공할 수 있다고 규정했다. 런던올림픽에서 수여된 4700개 메달 원자재의 99%는 리오틴토의 케네코트 광산에서 생산되었다. 케네코트 광산은 세계 최대 규모의 노천광산으로 미국 유타주에 위치해있으며, 인접한 솔트레이크시티 지역의 최대 규모 단일 오염원이다. 매년 3톤의 납을 비롯한 여러 중금속이 대기로 방출되고, 비소 등 유독물질을 함유한 폐기물 유출사건이 여러차례 발생해왔다. 지역의 보건전문가들과 시민단체는 리오틴토의 사업장과 주민들의 건강 악화 사이에 직접적인 개연성이 있다고 주장했다. 리오틴토는 170억원을 들여 올림픽 스폰서가 되었고, 40억명 이상이 시청하는 올림픽 중계를 통해 녹색 기업 이미지 홍보에 온 힘을 기울였다. 2000년부터 친환경 녹색 이미지 캠페인을 대대적으로 시작한 BP는 사회적 규정이나 법보다 산업의 자율적 책임이 중요하다는 주장을 펼치며, 기후보호 정책과 석유채굴 규제를 반대하는 정치인들에게 거액을 기부해왔다. BP는 2007년부터 현존하는 석유 채굴 방법 중에 가장 오염이 심하고, 많은 독성물질을 남기고, 기후에 해롭고, 돌이킬 수 없이 광범위한 환경파괴를 야

도쿄올림픽 저항 행동에 대한 연대 성명 : 올림픽을 위한 도시는 없다

이미지
도쿄와 각지에서 올림픽 재해에 맞서고 있는 동료들에게.  새로운 감염병이 전세계로 확산되며 그 어느 때보다 공적자원과 사회적안전망이 중요해진 지난 2년 동안, 우리는 이웃의 삶과 생명이 위기에 처하는 와중에도 자신의 이익을 지키는 데에만 몰두하는 올림픽 사업자들의 파렴치한 민낯을 똑똑히 보아왔다. 올림픽 사업의 횡포에 대한 저항이 거세질수록, 개최지 사회의 위기가 고조될수록, 국제올림픽위원회(IOC)는 우리의 생존권 따위는 아랑곳하지 않고 기대수익을 지키기 위해서 노골적인 탐욕을 드러냈다. IOC, 올림픽 사업에 직접 관련된 기업과 부동산 투자자들, 그리고 공직자로서 책임을 저버린 채 영향력 확대를 열망하는 정치인들은 공적자원에 기생해 각자 최대의 이익을 얻기 위하여, 그 외 모든 사회구성원들에게는 재해로 작용할 불공정한 계약을 체결하고 올림픽을 개최한다. 그리고 한 번 체결된 이 계약은 초법적인 막대한 영향력을 행사하며 우리의 기본권을 제약하는 예외적인 상태를 만들어 공적 통제를 벗어나는 약탈사업의 기반을 조성한다.  올림픽 사업자들과 그들의 협력자들은 어떻게든 개최를 강행하고 나면, 대부분의 사람들이 올림픽의 문제에 관심을 두지 않고 주요언론이 전하는 올림픽 스펙터클에 몰두할 거라고 기대하고 있는 듯 하다. 그러나 보다 많은 사람들은 반복되어온 올림픽 재해의 실상을 기억하고 있으며, 올림픽 사업자들의 기만에 분노하고 있다. 점점 더 많은 사람들이 올림픽을 거부하고 착취의 고리를 끊어야 한다는 공감대를 형성하고 있다.  우리의 집과 서식지, 우리의 생명, 우리 도시의 미래를 지키기 위해 우리는 함께 연대한다. 당신들의 투쟁은 곧 우리의 투쟁이며 우리는 연결되어 있다. 가능한 모든 방법을 동원하여 올림픽 재해를 멈추기 위한 행동을 이어가고 있는 동료들에게 한국에서 지지와 연대를 보낸다.  2021년 7월 평창올림픽반대연대 [東京オリンピック抵抗行動への連帯声明:オリンピックのための都市はない] 東京と各地でオリンピック災害に立ち向かっている仲間たちへ。 新たな感染

올림픽 재해의 악순환을 멈추자 2. 참혹한 승리

이미지
2013년 6월, 문체부가 올림픽 시설 공사를 위해 가리왕산의 개발 허가를 요청한지 한 달 만에, 산림청은 78만 헥타르(ha)의 보호구역을 해제했다. 올림픽특별법에 의거해 사전환경성검토는 면제되었다. 환경영향평가서에는 실제하는 노거수의 3분의 1만이 기록되어 있었고, 보호종 동물의 서식은 누락되어 있었다. 졸속으로 진행되었다는 의혹이 불거진 환경영향평가 조차도 가리왕산의 보존가치를 주요하게 언급하며 철저한 복원계획 수립의 필요성을 강조했고, 올림픽이 끝나면 리프트 등의 시설은 전부 철거하고 추가적인 개발은 "반드시 제한"해야 한다고 명시했다. 2014년 8월, 가리왕산에서 불법 벌목으로 올림픽 경기장 공사가 시작되었다. 불과 한 달 전에 정부 주최로 가리왕산이 정말 복원이 가능한지를 논의하는 회의가 열렸었다. 당시 정부 담당자도 "전문가들의 의견을 들어보니 복원에 100년 이상이 걸릴 것 같다"라고 이야기했었고, 구체적인 복원계획은 수립되어 있지 않았다. 하루 만에 7백 그루가 베어졌다. 일주일 만에 제일 중요한 산림유전자원보호구역의 나무 대부분이 잘려나갔다. 이는 시작일 뿐이었다. 9월부터 공사는 본격적으로 시작되었고 10만 그루 이상의 나무가 사라졌다.   가리왕산은 3개 이상의 자연보호구역으로 지정되어 있어서 어떠한 민간 개발사업이나 국책사업이 불가한 숲이었다. 오랫동안 형성되어온 고지대 원시림에는 한국에서 뿐만 아니라 세계적으로도 자연서식지를 찾아보기 어려운 희소한 수목들과 그들의 군락이 다양한 형태로 자리잡고 있었다. 독특한 지형과 기후, 거기에 깃든 생물들이 이루고 있는 복잡하고 아름다운 서식지는 생태적으로도, 유전자원으로도 매우 중요한 숲이었다. 세계적인 기후위기로 북방계 식물 서식지의 보전 필요성이 더욱 높아지고 있는 상황에서, 가리왕산은 우리가 더 이상 잃을 수 없는 마지막 보루였다. 가슴높이 지름이 1.23미터에 이르는 한반도 최대의 들메나무도, 밑동 지름이 1.13미터에 이르는 국내 최대의 왕사스래나무도

올림픽 재해의 악순환을 멈추자 1. 진정한 올림픽 유산

이미지
중앙정부는 '성공 개최'를 자축하고, 평창올림픽을 유치한 도지사는 올림픽위원회 위원장을 역임하며, 개최 당시의 도지사는 재선에서 압승을 거둔 뒤 대권 주자로 경선에 나서는 동안 지역에는 어떤 '올림픽 유산'이 남겨졌을까?  올림픽을 위해 조성된 알펜시아 리조트는 강원도에 1조원의 빚더미를 남겼다. 알펜시아 사업을 추진하기 전에는 우수지방공기업이던 강원도개발공사는 불어나는 부채로 매년 공기업평가 하위등급을 벗어나지 못하고 있으며, 도민복지와 공공복리를 위한 신규사업을 거의 추진하지 못하는 상태가 되었다. 알펜시아는 막대한 공적자금을 들여 지어졌고 공기업의 자금으로 운영되어왔지만 누적되는 부채를 감당하지 못해서 수차례 민간 매각이 추진되었다. 그러나 경제성이 미비하여 입찰에 나서는 기업이 거의 없었기에 매번 유찰을 면치 못했다. 올해 6월 말에 진행된 5차 입찰에서 매각이 결정되었으나, 낙찰 금액은 공사비의 절반에도 미치지 못하는 7100억원이었으며, 매각 과정에서 담합 의혹이 일어 부정입찰 여부에 대한 조사가 진행중이다.  매번 알펜시아 문제가 불거질 때 마다, 정부도 언론도 마치 알펜시아가 올림픽 문제와 무관한 골칫거리인 것 처럼 다루곤 한다. 알펜시아 리조트는 평창올림픽조직위 위원장을 역임한 김진선 전 강원도지사가 재임 시절에 지역의회와 시민단체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올림픽 유치를 위한 핵심기반시설이라는 명목으로 건설을 강행하여 2009년 완공된 시설이다. 올림픽 유치에 적극적으로 나선 윤세영 전 강원도민회장이 소유한 사업체인 태영건설에서 시공을 맡았다. 알펜시아 뿐만 아니라 올림픽 유치 이후 강원도 전역에서 진행된 올림픽 개발사업들은 경제성과 타당성에 대한 근거가 없고 환경에 악영향을 미친다는 비판을 받았을 뿐만 아니라, 토지 수용과 예산 집행 과정에서의 비리 의혹이 끊이지 않았다. 그러나 올림픽조직위는 단 한 차례도 투명하게 예산, 결산 내역을 공개한 적이 없다.  올림픽을 유치하는 세력들이 매번 내세우는 것 중 하나가 지역경제